카이트소식

다임리서치-카이스트, '피지컬 AI와 SDF가 이끄는 제조 혁신의 미래' 포럼 개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5/06/25 (17:00)
조회수
103

다임리서치가 카이스트와 함께 '피지컬 AI와 SDx가 창조하는 제조와 자동화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피지컬 AI 기반 제조 혁신 포럼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벤처캐피탈(VC)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투자한 다임리서치는 인공지능(AI) 군집 로봇 솔루션 기업이다.

최근 AI는 언어 처리나 데이터 분석을 넘어 현실 공간에서 직접 작동하는 '피지컬 AI '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기존의 챗GPT 등이 인간의 사고를 모사하는 '언어형 AI'였다면, 피지컬 AI는 공간과 시간의 맥락을 인식하고 물리적 행동을 수행하는 '움직이는 지능'으로 산업 전반에 혁신을 안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포럼은 크게 두 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민정국 현대자동차 상무가 세계 최초로 현대차가 도입한 'Software-Defined Factory(SDF)' 개념을 발표했다. 이어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피지컬 AI 기술이 적용된 'SDx(Software-Defined-everything)' 구현 사례를 공유했고, 김필수 네이버 리더는 AI 에이전트가 미래 제조 현장에서 맡을 역할과 국내 제조산업 확산 전략을 소개했다.

두 번째 세션은 산업계, 정부,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기술 세션으로 유니티코리아, KEIT, NIPA, 다임리서치 관계자들이 각각 디지털 트윈, 정부 정책, 기술 트렌드, 자율 제조 기획에 대한 최신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다임리서치는 "이번 포럼은 단순한 기술 공유를 넘어 국내 중소기업의 자동화 도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전략이 발표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와 다임리서치는 중소기업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피지컬 AI 기반 자동 설계 및 분석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고가 외산 소프트웨어와 전문가 없이도 로봇 및 자동화 설계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져 중소기업의 자동화 실패를 줄이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기사바로가기